안녕하세요.
다자녀 이프로입니다.
이번에는 파이썬의 입/출력문을 가지고 왔습니다 ~
그럼 바로 시작할까요?
자 그럼 파이썬 기본 출력문부터 살펴볼게요.
지금까지 계속 사용했는데 print 문 기억하시나요?
원하는 문장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인데요.
바로 예로 한번 살펴볼게요.
아래와 같이 print('김', '이'. '박') 이런식으로 적은 후 디버깅을 진행하면
김 이 박 이런식으로 출력이 됩니다.
print('김', '이', '박')
#출력 : 김 이 박
자 그런데 띄어쓰기 말고 콤마[,] 같은 구분기호로 구분하고 싶을때는 어찌해야 할까요?
이런식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print('김', '이', '박', sep=',')
#출력 : 김,이,박
근데 sep가 무슨 뜻일까요?
영어 단어의 뜻만 알면 대략적으로 알수 있다고 전에 말씀드렸죠?
separation의 준말으로 구분자를 의미합니다.
자 그럼 이번에는 프린트문의 특징에 대해서 말해볼텐데요.
print문은 연속으로 사용하더라도 자동으로 \n [줄바꿈] 이 써진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나는데요.
아래의 코드를 보면 김, 이, 박 이후 줄바꿈 진행 후 최가 표시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int('김', '이', '박', sep=',')
print('최')
#출력 :
# 김,이,박
# 최
그럼 이번에는 end 옵션 인데요.
마지막에 end를 붙여주면 출력값 뒤에 이어서 end 출력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또 다른 특징으로는 줄바꿈을 진행하지 않는데요.
밑의 코드를 보시면 쉽게알 수 있을거예요.
print('김', '이', '박', sep=',', end=' 그리고 ')
print('최')
#출력 : 김,이,박 그리고 최
자 그럼 이제 입력하는 방법도 알아야겠죠?
아래를 보면 value 변수에 input으로 입력값을 받아서 print 문으로 출력해주는 코드인데요.
제가 입력한대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value = input('값을 입력하세요')
print(value)
이런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을 받아서 출력이 가능한데요.
활용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전에 진행했던 구구단입니다. [혹시 궁금하시면 아래 확인해주세요]
https://botong-it.tistory.com/44
Python_8 _ 제어문(for)
안녕하세요. 다자녀 이프로입니다. 이번에는 제어문의 마지막 for문 입니다. 이번에는 처음이신 분들은 조금 어려울수도 있어요. 하지만 쉽게 쉽게 짜볼테니 한번 같이 공부해봐요 ~~ 자 for 문의
botong-it.tistory.com
자 아래와 같이 몇단을 출력할지를 지정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죠?
value = input('몇단을 진행할까요?')
print('::: %s 단 :::' %value)
for i in range(1, 10): # 1부터 9까지
print(f'%s x {i} = [%s * {i}]' %(value,value))
#출력 :
# 몇단을 진행할까요?3
# ::: 3 단 :::
# 3 x 1 = [3 * 1]
# 3 x 2 = [3 * 2]
# 3 x 3 = [3 * 3]
# 3 x 4 = [3 * 4]
# 3 x 5 = [3 * 5]
# 3 x 6 = [3 * 6]
# 3 x 7 = [3 * 7]
# 3 x 8 = [3 * 8]
# 3 x 9 = [3 * 9]
자 이제 출력뿐만이 아니라 입력하는 방법도 알아봤는데요.
이제 점점 뭔가 해나갈 수 있을거같은 느낌이네요.
그럼 다음에 또 올게요 ~~
'IT > Python_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_7 _ 제어문(While) _ 추가 (0) | 2021.09.17 |
---|---|
Python_6 _ 제어문(IF) _ 추가 (0) | 2021.09.16 |
Python_8 _ 제어문(for) (0) | 2021.09.15 |
Python_7 _ 제어문(While) (0) | 2021.09.14 |
Python_6 _ 제어문(IF) (0) | 2021.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