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Python_학습

Python_6 _ 제어문(IF) _ 추가

다자녀 이프로 2021. 9. 16. 17:28
반응형

안녕하세요.

 

다자녀 이프로입니다. 

 

IF문관련 제가 적은 글을 보다보니 너무 급하게 넘어간 감이 있어서 한번 다시 보충하려고 합니다.

[마음이 너무 급했네요 ㅜㅜ 좀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먼저 if문이 뭔지는 기억나시죠?

 

영어 의미는 '만약' 이였고, 당연히 조건문이였습니다.

 

근데 제가 elif문과 else문에대한 설명을 빠트렸더라구요....';; 죄송합니다..;;

 

자 그럼 다시 한번 시작해볼게요.

 

 

먼저 elif문과 else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if문을 먼저 사용해야하는데요.

 

한번 볼까요?

 

예를들어 학생의 성적을 90점 이상이면 A, 80점 이상이면 B, 70점 이상이면 C, 그 이하라면 재시험이라고 해볼게요.

 

이걸 예를들어 점수[변수]에 빗댄 수식으로 나타내면 

 

1. 90 <= 변수
2. 80 <= 변수 < 90

2. 70 <= 변수 < 80

2. 70 > 변수 

이런식으로 되겠죠? 자 그럼 코드로 한번 볼까요?

 

i=70

if 90 <= i:

    print('A')

elif 80 <= i < 90:

    print('B')

elif 70 <= i < 80:

    print('C')

else:

    print('재시험')

 

 

위와 같은 식으로 해서 i의 값의 변화에 따라서 성적이 다르게 나오는것을 알 수 있는데요.

 

대충 이제 감이 오셨겠지만 if 밑의 elif, else에 대해 설명해볼게요.

 

 

 

elif문은 처음 if 의 조건이 만족하지 않을때 '어?그럼 이건 만족하냐'고 되물어 보는 명령이라고 보시면 되요.

 

위와같이 90점이상이면 A인데.. 아니네.. 그럼 80점이상..도 아니네.. 그럼 70점이상..!! 맞네~! 그럼 C! 이렇게 되는거죠.


그럼 else문은 무엇일까요?

 

위에 보면 조건이 없죠? if나 elif로 조건 확인을 하다가

 

'아 ~ 조건들 다 아니면 그냥 이렇게 할래'라고 지정하는거라고 보시면 될거같애요.

 

어때요 어렵지 않은 설명인가요!?^^

 

자 그럼 이쯤 설명하다보면 뭔가 위의 코드를 좀 더 이쁘게 다듬어볼 수 있을거 같은데요.

 

i=70

if 90 <= i:

    print('A')

elif 80 <= i:

    print('B')

elif 70 <= i:

    print('C')

else:

    print('재시험')

 

 

자 위에보면 뒤에 이상/미만 조건중에 이상 조건만 남기고 지워버렸는데요.

 

어차피 순차적으로 확인하나가기 때문에 굳이 미만이라는 조건이 필요가 없게 되는거죠.

 

좀 더 쉽게 무슨말이냐하면 어차피 첫 조건에서 90이상이라는 조건이 있었는데

 

80이상 90미만이라는 조건이 걸릴 필요가 없다는거죠. 90이상이였다면 첫 조건에서 만족했을테니까요.

 

 

 

 

 

자 그럼 마지막으로 연산자! 혹시 헷갈릴수도 있으니 한번 더 적어놓고 갈게요. 외워두세요!

 

쉽게 외우는법 알려드렸죠?

 

 <   ← 저 부등호가 입을 벌리고있는 방향이 큰쪽, 좁은쪽이 작은쪽이예요. 쉽죠?

 

자 그럼 꼭 외워주시고 다음에 또 돌아올게요 ~~

 

 

※비교연산자

 

 

 

※논리연산자

 

 

반응형

'IT > Python_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_8 _ 입/출력문  (0) 2021.09.27
Python_7 _ 제어문(While) _ 추가  (0) 2021.09.17
Python_8 _ 제어문(for)  (0) 2021.09.15
Python_7 _ 제어문(While)  (0) 2021.09.14
Python_6 _ 제어문(IF)  (0) 2021.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