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Python_학습

Python_2 _ 자료형 [Bool, None]

다자녀 이프로 2021. 9. 7. 15:09
반응형

안녕하세요.

 

다자녀 이프로입니다.

 

파이썬 시작한지 얼마 안됐는데 아직 어렵지는 않으시죠?! ㅎㅎ

 

오늘은 Bool과 None 형을 알아볼게요.

 

 

 

 

 

불리언(boolean) 자료형 논리 자료형이라고도 하며,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데 쓰입니다.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참은 1, 거짓은 0으로 표현하고 파이썬에서도 동일하게 쓰입니다.

 

그리고 숫자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영단어 True(1)와 False(0)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불리언(Boolean)이라는 말은 영국의 수학자 겸 논리학자인 조지 불(George Boole)의 이름에서 따옴]

 

그럼 한번 예시를 볼까요?

 

c1=1

c2=2

c3=0

 

print(c1==c2)

print(c1!=c2)

print('\n')

print(bool(c1))

print(bool(c2))

print(bool(c3))

 

 

C1과 2가 같지 않으니(==) False, 같지않은건 맞는거니(!=) True

 

그리고 1,2,0을 각각 Bool로 표현했을때 0이 False로 표현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파이썬에서 불(Bool) 자료형은 True와 False를 나타내며 첫 글자는 항상 대문자로 사용해야합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사실은 Bool 자료형은 참과 거짓을 식별하는 자료형이다 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자 이번에는 None의 차례입니다.

 

None은 아무 데이터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C언어의 null과 비슷한 의미이며 파이썬에서 None이라는 값도 하나의 객체에 해당합니다(NoneType).

 

None은 False로 판단됩니다.

 

 

c1=None

 

print(c1)

print(bool(c1))

 

None은 Bool형으로 False

 

 

def add(x,y):

    z=x+y

    # return z #주석 처리로 인해 리턴값 없음

 

z=add(3,4)

print(z)

 

주석풀면 '7' 주석 처리시 None

 

 

 

 

 

 

위와 같이 None는 값이 없을때 또는 값을 알 수 없는 경우, 정의되지않는 값, 초기화된값 등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혹여 Null을 알고 계신다면 그런 의미로 받아들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IT > Python_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_5 _ 변수  (0) 2021.09.09
Python_4 _ 자료형 [튜플]  (0) 2021.09.09
Python_3 _ 자료형 [리스트]  (0) 2021.09.07
Python_1 _ 자료형 [숫자, 문자]  (0) 2021.09.07
Python_0 _ Python 설치방법!  (0) 2021.09.07